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임 炮烙之刑(포락지형) 잔혹하고 가혹한 형별 塗炭之苦(도탄지고) 진흙길에 빠지고 숯불에 그을리는 고생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움
嚆矢(효시) 우는 화살이란 뜻으로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화살 濫觴(남상) 사물의 시초 (아무리 큰 강이라도 그 시작은 조그마한 술잔 정도의 물에서 시작됨) 破天荒(파천황)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를 천황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을 깨뜨리고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는 말. 唐(당)나라 荊州(형주) 지방에 사는 유세가 처음 진사에 합격한 데에서 생긴 말. ① 이전에 아무도 못 한 일을 처음으로 함.
百年偕老(백년해로) 부부가 한 평생을 함께 늙어감 偕老同穴(해로동혈) 함께 늙어 죽어 같은 무덤에 들어감 琴瑟相和(금슬상화) 거문고와 비파가 화음이 잘 맞는듯 부부간에 조화를 이룸 擧案齊眉(거안제미) 밥상을 눈썹에 맞추어 들고 들어와 남편에게 드림 夫唱婦隨(부창부수) 남편의 의견에 아내가 따라함
塞翁之馬 (새옹지마) 최전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 轉禍爲福 (전화위복) 재앙이 복으로 변함
亡羊之歎(망망지탄) 양을 잃어 버린 탄식 多岐亡羊(다기망양) 갈래길이 많아 버린 양을 찾기가 어려움
死後藥方文 (사후약방문) 죽은뒤에 약 처방전을 내림 亡牛補牢(망우보뢰)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침
12 눈가리고 아웅한다 임시방편 - 사자성어 彌縫策(미봉책) 일시적인 눈가림으로 꾸며 대는 계책 姑息之計(고식지계) 당장 편한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고식책 臨機應變(임기응변) 그때그때 처한 뜻밖의 일을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對處)하는 일 下石上臺(하석상대)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굄 凍足放溺(동족방뇨) 언 발에 오줌누기. 일시적인 효력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는 뜻의 속담
井底之蛙(정저지와) 우물 밑의 개구리 坐井觀天(좌정관천)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쳐다본다 通管窺天(통관규천) 대롱을 통하여 하늘을 엿봄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참외밭에서는 신발을 들이지 말라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말라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짐 (일이 공교롭게도 맞아 떨어져 남에게 의심을 받음)
咫尺之地(지척지지) 아주 가까운 곳 指呼之間(지호지간) 손짓하여 부르면 대답(對答)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距離)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피차의 거리는 있으나 본질적인 차이는 없음
莊周之夢(장주지몽) 장주가 꿈 속에서 나비가 됨 胡蝶之夢(호접지몽) 호랑나비의 꿈 主客一體](주객일체) 주인과 손님이 하나가 됨 [物心一如(물삼일여) 물체와 마음이 구별없이 하나로 통합되는일 物心一如(물아일체) 외물(外物)과 자아, 객관과 주관, 또는 물질계와 정신계가 어울려 하나가 됨. 無我之境(무아지경) 정신이 한곳에 온통 쏠려 스스로를 잊고 있는 경지.
股肱之臣(고굉지신) 팔 다리와 같은 신하 社稷之臣(사직지신) 사직(왕조)을 지탱할 만한 신하 柱石之臣(주석지신) 주춧돌이 될 만한 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