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유부득반구저기 [行有不得反求諸己] 행동(行動)을 해서 원하는 결과(結果)가 얻어지지 않더라도 자기(自己) 자신(自身)을 돌아보고 원인(原因)을 찾아야 함. 어떤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때 남 행유부득반구저기(行有不得反求諸己)**는 “일이 잘되지 않으면 그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라”라는 뜻이에요. 쉽게 말해, 어떤 일이 잘 안 풀릴 때 남 탓을 하기보다 먼저 자신의 잘못이나 부족함을 돌아보라는 의미 行 다닐 행, 항렬 항 有 있을 유 不 아닐 부, 아닐 불 得 얻을 득 反 돌이킬 반/돌아올 반, 어려울 번, 삼갈 판 求 구할 구 諸 모두 제, 김치 저/어조사 저己 몸 기일상 속 예시직장에서 프로젝트 실패 프로젝트가 예상보다 부진해서 상사에게 혼났을 때, 동료들이 협조를 잘 안 해줘서라고 불평하기..
성대공자 불모어중 成大功者不謀於衆 ‘큰 공(功)을 이루는 자는 여럿과 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큰 사업(事業)을 계획(計劃)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에 흔들리지 말고, 자기(自己)의 뚜렷한 주관(主觀)으로 신속(迅速)히 일을 처리(處理)해야 한다는 말. 큰 성공을 이루는 사람은 다른 이들과 함께 도모하지 않는다 크게 성공하려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의견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뚜렷한 주관을 가져야 한다는 뜻 큰일을 하는 자는 평범한 사람들과 의논하지 않는다 지극한 덕을 논하는 사람은 속인들과 타협하지 않고 크게 성공을 하고자 하는 자는 평범한 이들과 의논하지 않는다 큰일을 하려는 사람은 평범한 사람들과 절대 함께하지 않는다. 여러사람의 의견을 듣다보면 논의가 길어지고 더구나 소문이라도 나면..
세월부대인 [ 歲月不待人 ] 세월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월은 한 번 지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니 시간을 소중하게 아껴 쓰라는 뜻.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으니 시간을 아껴라 歲 : 해 세 月 : 달 월 不 : 아니 불 待 : 기다릴 대 人 : 사람 인 젊은시절은 거듭 오지 않으며 하루에 아침을 두번 맞이하지 못한다. 때를 놓치지말고 부지런이 일해라 세월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인생은 한창시절은 다시 오지 않고,하루에 새벽은 두번이 없다 때를 만나면 마땅히 힘써라 세월은 나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도명언은 당나라 이후 남북조 시대 최초 시인으로 평생 술과 함께하여 '술의성인'으로 불린다.
천리지행시어족하 千里之行始於足下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한다'라는 뜻으로, 모든 일은 시작이 중요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에서 유래되었다 「노자(老子)」 64장에 보인다. "아름드리 나무도 털끝처럼 가는 싹에서 생겨나고, 9층의 누대도 한 삼태기의 흙을 쌓아올리는 것에서 시작되고,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시작된다. 그러니 무엇인가 하는 것은 일을 그르치는 것이고, 움켜잡는 것은 시기를 놓치는 것이다. 千:일천 천里:마을 리之:어조사 지行:갈 행始:처음 시於:어조사 어足:발 족下:아래 하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아름드리 큰 나무도 작은싹에서부터 생겨나고 높은 누대도 흙을 쌓아올려야 세워지며,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시작되는법이다. 억지로 하려는 자는 실패할 ..
어감좋은사자성어 모음 千紫萬紅(천자만홍) 색색의 꽃이 피어 있는 상태를 형용해 이르는 말. 莫逆之友(막역지우) 마음이 맞아 서로 거스르는 일이 없는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친밀한 벗. 無我之境(무아지경) 정신이 한곳에 온통 쏠려 스스로를 잊고 있는 경지. 定省溫淸(정성온청)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도리. 二姓之樂(이성지락) 부부사이의 정. 水魚之交(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란뜻으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친한 사이를 일컫는 말. 花容月態(화용월태) 아름다운 여자의 고운 자태를 이르는 말. 雪膚花容(설부화용) 눈처럼 흰 살결과 꼬처럼 고운 얼굴. 미인의 용모를 일컫는 말. 二八靑春(이팔청춘) 열여섯 살 전후의 젊은 나이. 河海之恩(하해지은) 큰 강이나 넓은 바다와 같이 넓고 큰 은혜. 優遊無事(우유무사..
필수 사자성어 모음 토사구팽(兔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없앤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 실컷 부려 먹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내버린다는 말 파죽지세(破竹之勢)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당당하게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에 놓인 등불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움을 이르는 말 함흥차사(咸興差使) 심부름을 간 사람이 아무 소식이 없을 때 이르는 말 고진감래(苦盡甘來) 괴로움이 다하면 달콤함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구사일생(九死一生)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간신히 목숨을 건진다는 말 과유불급(過猶不及) 정도가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보다 못하다는 말 괄목상대(刮目相對) 눈을 ..
쉬운 사자성어 모음 사필귀정 事必歸正 처음에는 그릇된 것처럼 보였던 일도 결국에는 모두 바르게 돌아간다 주객전도 主客顚倒 '주인과 손님이 뒤바뀐다'는 뜻 입장이 뒤바뀐 상황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른 산에서 나는 보잘것 없는 돌이라도 자기의 옥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 다른 사람의 사소한 언행이나 실수라도 나에게는 커다란 교훈이나 도움이 될 수 있음 토사구팽 兎死狗烹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 파죽지세 破竹之勢 세력이 강대해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음 호연지기 浩然之氣 세상에 꺼릴 것이 없는 크고 넓은 도덕적 용기 맹자의 가르침인 인격의 이상적 기상 화룡점정 畵龍點睛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 환골탈태 換骨奪胎 뼈를 바꾸고 태를 빼낸다는 뜻 몸과 얼굴이 몰라..
過猶不及(과유불급)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矯角殺牛(교각살우) 소의 뿔을 바로 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 欲速不達(욕속부달) 빨리 하고자 하면 이르지 못함
箕山潁水(기산영수) 소부 허유가 놀던 아름다운 경치山紫水明(산자수명) 산수의 경치가 썩 아름다움武陵桃源(무릉도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별 천지 사람들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땅煙霞日輝(연하일휘)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江湖煙波(강호연파) 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뽀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明鏡止水(명경지수)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이라는 뜻으로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르는 말
雪上加霜 (설상가상) 눈 위에서 서리가 내림 七顚八倒 (칠전팔도) 일곱 번 뒤집히고 여덟번 넘어짐 雞卵有骨 (계란유골) 계란에도 뼈가 있다. 모처럼 생긴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
傍若無人(방약무인)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 여긴다는 뜻 敖慢放恣(오만방자) 거만하고 나태햐여 태도가 불량함 眼下無人(안하무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 厚顔無恥(후안무치) 뻔뻔스러워 부끄러움이 없음 破廉恥漢(파렴치한) 체면이나 부끄러움을 모르는 뻔뻔스러운 사람 唯我獨尊(유아독존) 세상에서 자기만이 잘났다고 뽐내는일
天人共怒(천인공노) 하늘과 땅 (세상사람이) 함께 분노함 含憤蓄怨(함분축원) 분하고 원통한 마음을 품음 悲憤慷慨(비분강개) 슬프고 분한 느낌이 마음속에서 가득 차 있음 切齒腐心(절치부심)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