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公移山(우공이산) 어떤 어려운일이라도 끊임없이 행하면 이루어짐(티끌모아 태산) 登高自卑(등고자비) 일을 하는데는 순서가 있음 狐假虎威(호가호위) 다른 사람의 권세를 빌어 자기가 위세를 부림 金枝玉葉(금지옥엽) 아주 귀한 집의 자손 骨肉相爭(골육상쟁) 동족끼리 서로 싸움 走馬加鞭(주마가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함. 잘하고 있는데 더 잘하라고 부추김 走馬看山(주마간산) 수박 겉 핥기 (대충대충 처리함)
箕山潁水(기산영수) 소부 허유가 놀던 아름다운 경치山紫水明(산자수명) 산수의 경치가 썩 아름다움武陵桃源(무릉도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별 천지 사람들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땅煙霞日輝(연하일휘)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江湖煙波(강호연파) 강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뽀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明鏡止水(명경지수)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이라는 뜻으로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르는 말
雪上加霜 (설상가상) 눈 위에서 서리가 내림 七顚八倒 (칠전팔도) 일곱 번 뒤집히고 여덟번 넘어짐 雞卵有骨 (계란유골) 계란에도 뼈가 있다. 모처럼 생긴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
抱腹絶倒 (포복절도)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弄璋之慶 (농장지경) 아들을 낳은 즐거움 弄瓦之慶 (농와지경) 딸을 낳은 즐거움 錦上添花 (금상청화) 비단위에 꽃을 더함 拍掌大笑 (박장대소)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多多益善 (다다익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戀慕之情(연모지정)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相思之病(상사지병) 남녀가 몹시 그리워하여 생기는병 同病相憐(동병상련) 같은 병자(病者)끼리 가엾게 여긴다는 뜻 (처지가 비슷한 사람)
日就月將(일취월장) 날로 덜로 나아감. 학문이나 사업이 널로 번성함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다시 봄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 날로 새롭고 또 날로 새로워짐
矛盾 (모순) '창과 방패(防牌)'라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行動)의 앞뒤가 서로 일치(一致)되지 아니함 自家撞着(자가당착) 한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음 二律背反(이율배반) 똑같은 근거를 두고 정당하다고 주장하는 서로 모순된 두 명제
近墨者黑(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게됨 近朱者赤(근주자적) 붉은 색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붉게됨 三遷之敎(삼천지교) 맹자의 교육을 위해 맹모가 세 번씩 이사를 가서 자식을 교육시킴 南橘北枳(남귤북지) 화남 지방의 귤나무를 회북 지방으로 옮겨 심으면 귤이 탱자가 됨 麻中之蓬(마중지봉) 대마밭의 쑥대 (대마밭의 쑥대는 올곧게 자람)
首丘初心(수구초심)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둔다는 데서 유래 看雲步月(간운보월) 낮에는 구름을 바라보고 밤에는 달빛 아래를 거닐며 고향을 생각함
苛斂誅求(가렴주구)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임 炮烙之刑(포락지형) 잔혹하고 가혹한 형별 塗炭之苦(도탄지고) 진흙길에 빠지고 숯불에 그을리는 고생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움
嚆矢(효시) 우는 화살이란 뜻으로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화살 濫觴(남상) 사물의 시초 (아무리 큰 강이라도 그 시작은 조그마한 술잔 정도의 물에서 시작됨) 破天荒(파천황)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를 천황이라고 한다. 이런 상황을 깨뜨리고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는 말. 唐(당)나라 荊州(형주) 지방에 사는 유세가 처음 진사에 합격한 데에서 생긴 말. ① 이전에 아무도 못 한 일을 처음으로 함.
百年偕老(백년해로) 부부가 한 평생을 함께 늙어감 偕老同穴(해로동혈) 함께 늙어 죽어 같은 무덤에 들어감 琴瑟相和(금슬상화) 거문고와 비파가 화음이 잘 맞는듯 부부간에 조화를 이룸 擧案齊眉(거안제미) 밥상을 눈썹에 맞추어 들고 들어와 남편에게 드림 夫唱婦隨(부창부수) 남편의 의견에 아내가 따라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